본문 바로가기


DIGGING/d-Issue

플렉스를 보다가 플렉스 해버렸지 뭐야

 

 

 

과시가 놀이가 된 현상

 

글 이우성 / 시인, 미남컴퍼니 대표. 2009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등단, <GQ> <Dazed&Confused> <ARENA Homme+>에서 에디터로 일했다. 문화 전반에 대해 글을 쓰며 창의적인 콘텐츠를 만든다.

 


 

플렉스. 잘난 척. 허세 부리는 거. 우쭐거리며 과시하는 거. 미국 래퍼들이 시작했다. 손가락마다 반지를 차고 목걸이도 주렁주렁 걸치고, 무거워서 못 움직일 것 같은데, 어깨를 올리고 젖히며 과하게 흥얼거리는 거. 크게 보이려고. ‘있어 보이는’ 척하는 거. 그중 누군가는 정말 ‘있고’ 누군가는 그렇게 보이기만 하는 거. SNS라는 게 생기면서 소위 물 건너왔다. 

 

염따 인스타그램 @yumdda / MBC <라디오스타> 캡처

 

한국에선 염따(래퍼라고 함. 개인적으로 노래를 들어본 적은 없음. 플렉스 때문에 알게 됐음.) 등 연예인들이 SNS에 “~해버렸지 뭐야” 같은 말투를 곁들이며 유행하기 시작했다. 뭐 그전에 누군가 또 했을 거 같기는 한데, 그것까진 모르겠다. 아, 도끼가 먼저 했다. 집 자랑 차 자랑하는 거, 그게 다 플렉스다. 아무튼, 대략 이런 식으로 소비되고 있다. “천오백만 원짜리 롤렉스를 사버렸지 뭐야” “고장 낸 친구 벤틀리를 고쳐주려다가 그냥 내가 탈 벤틀리를 사버렸지 뭐야.” 그런데 플렉스(flex)의 원래 뜻은, 음, 사전 찾아보면 나오니까 각자 찾아보면 되겠다. (“오, 나는 심지어 단어로 플렉스를 해버렸지 뭐야~”).

 

출처: YBM 통합사전

 

그런데 플렉스 현상에서 신기한 게 뭐냐면, 플렉스하는 놈들이 별로 밉지 않다는 거다. 잘난 척하는 사람을 보면 보통 기분이 나빠지기 마련인데 이 경우엔 그렇지가 않다는 거지. 봐줄 만은 하달까. 겸손이 미덕인 시대를 지나와서일까. 어쩌면 그럴 수도. 하지만 겸손은 영원히 미덕이 될 것이다. 그러다 보니 지루하게 느껴진다. 플렉스 하는 사람들을 보며 재미있어하고 혹시 열광한다면 그들이 뭘 사거나 과시하기 때문이 아니라, 별로 아니 전혀 겸손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와, 저 자식은 뭐 저렇게 대놓고 자랑을 하고 그래?’라고 놀라면서 ‘와, 진짜 개념 없이 솔직하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나도 솔직하게 살아도 되나?’ ‘자랑 좀 하고 살아도 되나?’ ‘겸손 떠느라 하고 싶은 거 못하고 사느니, 그냥 막살자’ 이런 감정. 그러니까 결론은, 사회적 억압을 플렉스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래서 일반인들도 이 놀이에 동참하기 시작했다. 플렉스, 그거 뭐 별거 아니거든.

 

SBS <이동욱은 토크가 하고 싶어서> 캡처

 

SNS에서 ‘#플렉스’를 검색하면 (일단 무슨 클럽(club) 관련 게시물들이 나오는데 이건 패스) 다양한 플렉스를 볼 수 있다. 명품 가방을 샀다는 플렉스도 있고, 모처럼 휴일에 카페 가서 커피 마셨다는 플렉스도 있고, 비싼 해산물을 원 없이 먹었다는 플렉스도 있다. 별거 아니다, 플렉스. 저 위에 내가 적은 플렉스의 의미는 지금으로선 맞기도 하지만 잘 맞지 않을 수도 있다. 소확행이랑 동의어일 수도 있고, 만족하며 드러내고 사는 삶을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갑자기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최근 2~3년 사이 ‘꼰대’라는 단어가 새삼 주목받았다. 괜히 그런 게 아니다. 나는 플렉스 현상과도 연결돼 있다고 생각한다. 잔소리가 듣기는 싫어도 ‘듣기 싫으니까 그만 하세요’라고 말하는 건 버릇없는 것처럼 여겨졌다. 그건 여전히 마찬가지지만 그들을 ‘꼰대’라는 단어로 규정하면서 묘한 희열을 느낀다.

‘이래라저래라 하지 말고, 좀 내버려 둬’라는 마음이 쌓이고 쌓여서 생기는 현상 중 하나가 플렉스 아닐까. 사실 플렉스 자체는 별로 도덕적으로 보이지도 않고, 어떤 플렉스는 과소비를 조장하기도 하고, 허영심을 부추기기도 하지만(이라고 말한다면 당신은 꼰대!) 플렉스의 본질은 욕망을 따르고 그것을 솔직하게 드러내는 데 있다. 이게 스스로 조금은 위로가 되지 않겠냐고 나는 말하고 싶다. 

 

출처: 양경수 작가 인스타그램 @yangchikii

 

다른 이야기를 하나 더 하자면, 플렉스 현상에서도 일반인들의 ‘연예인화’가 두드러진다. ‘연예인화’라는 단어가 촌스럽긴 하지만 아무튼, 일반인과 연예인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는 건 SNS가 등장한 이후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다. 플렉스 현상은 새삼 그걸 확인하게 만든다. 그저 시청하고 감상하던 일반인들이 적극적으로 흉내 내고 주도하기 시작했다.

 

(위부터) 유튜버 헤이즐, 허팝, 공대생 변승주 DS

 

예전엔 연예인만 협찬을 받았지만, 지금은 일반인도 협찬을 받는다. 예전엔 연예인만 화보를 찍었지만, 지금은 일반인도 조명이 잘 갖춰진 스튜디오에서 화보를 찍는다. 심지어 인플루언서라고 불리는 일부 일반인들은 연예인 못지않게 인기가 많다.

일반인들이 어느 날 갑자기 연예인들 흉내 내며 플렉스를 한 게 아니라, 사회적 환경이 어느 정도 조성되어 있었던 셈이다. 패션, 뷰티 브랜드가 연예인 마케팅의 대안을 일반인 마케팅에서 찾은 것도 주요한 동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래서 나는 이 플렉스라는 걸, 일종의 대리만족이라고 보고 싶지가 않다. 그런 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제 일반인들이 대리만족에 머무르는 시대가 지났기 때문이다. ‘직접 만족’의 시대, 그걸 플렉스가 보여준다.

그래서 뭐 별 의미 없지만 나의 바람은 이렇다. 두세 달 택시비를 모으고 술값도 아껴서 갖고 싶은 가방을 샀다고 치자. 그게 된장남 소리를 들을 일인가? 전혀 아니다. 축하받을 일 아닌가? 가방을 볼 때마다 그 가방을 사기 위해 노력한 순간들이 스쳐 지나가며 뿌듯해지지 않나? 단순히 들고 다니기 위해 가방을 사는 게 아니다. 그걸 얻기 위해 노력한 순간들을 친구들에게 보여주고 자랑하고 같이 이야기 나누기 위해서 사기도 한다. 그러니까 눈치 볼 이유가 없다. 그냥 플렉스 해버리는 거지. 이미 다들 그렇게 하고 있다! 도덕책 같은 댓글 다는 꼰대가 있다면 계몽해버리자. “야, 너도 플렉스 할 수 있어”라고.

 

 


top